Article
Editorial
편집자 주: 34권 4호
Editorial for Vol. 34, No. 4
서울대학교 국제진료센터
International Healthcare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Korea
Correspondence to: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Korean J Aerosp Environ Med 2024; 34(4): 99-100
Published December 31, 2024 https://doi.org/10.46246/KJAsEM.240029
Copyright © Aerospace Medical Association of Korea.
Abstract
Keywords
Body
본 학회지의 34권 4호에서는 총 3편의 논문을 게재하였다. 원고의 종류별로 원저(Original Article) 1편, 종설(Review Article) 2편, 증례보고(Case Report) 0편, 단신(Brief Communication or Letter to Editors) 0편이었다. 주제별로 항공우주의학 3편, 항공인적요인 0편, 항공간호 0편이었다. 원고의 언어별로 국문 1편, 영문 2편이었다.
I. 34권 4호 주요 내용 및 시사점
첫 번째 논문은 항공기 조종사의 심혈관 건강과 비행 중 작업 부하를 평가하여 항공안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한 명의 조종사에게 휴대용 심전도 장치를 부착한 후 비행 중 심박수와 심박수의 변동성을 측정하여 비행 단계별로 그 변화를 관찰하였다. 비행 단계는 사전 준비, 이륙, 순항, 착륙, 비행 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착륙 단계에서의 심박수와 심박수 변동 지표가 가장 크게 변함을 확인하였고, 저자들은 이 관찰 결과는 비행 중 작업 부하에 따른 교감신경계의 활성화와 스트레스 증가 때문으로 주장하고 있다. 비행 중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함으로 더 현실에 가까운 결과를 도출하려고 한 점이 장점이다. 그러나 단일 파일럿으로 한정되어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점이 단점이다. 향후 더 많은 대상자를 포함한 후속 연구가 기대된다 [1].
두 번째 논문은 전투 비행에서 전정 착각에 대한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군사 항공안전에 중요한 부분을 다루고 있었다. 비행 중 전정 착각은 내이의 오작동으로 발생하는데, 전투기 가속 시 상승 또는 하강 각도를 잘못 인지하거나, 회전이 멈춘 후에 반대 방향 회전을 느끼는 착각 등을 말한다. 특히, 전투 조종사는 고속 기동, 높은 가속력, 낮은 시계 조건에서 전정 착각이나 공간방향감각 장애를 경험할 위험이 높다. 이 논문에서는 군사 항공 사고의 약 5%가 공간방향감각 장애와 관련이 있었으며, 이 중 90%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였다고 하였다고 하였다. 저자는 이에 대한 관리 방안으로 훈련 및 교육을 강조하고, 특히 시뮬레이터와 가상현실 기술을 소개하고 있었다. 이 글은 민간 항공과 차별화된 군사 항공의 위험 요인과 대응 방안을 다루고 있으며 첨단 기술에 의존도가 높은 방안을 제안하고 있으나, 효과성을 입증하는 구체적인 통계 자료는 제시하지 못하고 있었다 [2].
세번째 논문은 항공 종사자의 당뇨병 관리와 항공 안전에 대한 내용이었다. 특히, 당뇨병이 항공 종사자의 비행 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국내외 관리 기준을 비교하였다. 이와 관련된 주된 위험은 심혈관 질환과 저혈당증이고, 이로 인해 비행 중 사고 가능성을 높이게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인슐린 치료를 받는 조종사는 항공신체검사증명 발급이 불가하며, 약물 복용 시에 혈당 조절 상태를 엄격히 평가하고 허용 약물 종류를 제한하고 있다. 이에 비해 미국은 인슐린 조종사에게도 제한적 비행을 허용하며, 연속혈당측정 및 정기적 의무 보고를 하도록 하고 있다. 호주의 경우에도 경구 약물과 인슐린 치료 조종사에게 각기 다른 제한을 두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연속혈당측정기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국제민간항공기구에서는 혈당 안정성과 심혈관 상태를 평가한 후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부조종사와 비행이라는 제한조건을 통해 안전을 보장하고 있다. 이처럼 저자는 국제적인 비교를 통해 국내 지침과 정책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더 많은 임상 데이터와 기술적 적용 가능성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수 있으며, 이는 국내 기준을 국제적 수준으로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3].
II. 편집자의 소감
이번 논문들은 항공우주의학의 세부적인 분야에 대한 내용들을 다루고 있다. 심혈관계, 전정계 그리고 내분비계에 걸쳐 다양한 항공 위험과 관리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우주의학, 그리고 항공인적요인이나 항공간호 분야의 논문이 없는 점이 아쉽지만, 최근 항공우주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다양한 참여를 기대해 볼만 하다.
III. 편집위원회 공지
본 학술지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경우 이를 독자들에게 명확하게 알릴 것을 요구합니다. 또한,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 또는 면제에 대한 사항을 표기하고, 연구윤리번호를 본문에 기재하여야 합니다.
본 학술지는 2024년도 학술지평가 결과 등재학술지로 선정되었습니다 [4].
CONFLICTS OF INTEREST
Juwon Lim has been the editor-in-chief since 2022 and had no role in the decision to publish this article.
FUNDING
None.
ACKNOWLEDGEMENT
이 글은 글쓰기 및 검토 과정에 ChatGPT의 도움을 받았다.
References
- Kim WD, Kim SW, Cho SK, Byeon JH, Lee GY, Hyun WS, et al. In-flight electrocardiography monitoring in a pilot during cross country flight. Korean J Aerosp Environ Med 2024;34:101-107. https://doi.org/10.46246/KJAsEM.240023.
- Riski AD, Wibawanti R. Literature review: vestibular illusions in combat flight: implications and management. Korean J Aerosp Environ Med 2024;34:108-115. https://doi.org/10.46246/KJAsEM.240027.
- Kwon YH. Advancements in aeromedical management of diabetes: implications for aviation safety. Korean J Aerosp Environ Med 2024;34:116-119. https://doi.org/10.46246/KJAsEM.240028.
-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NRF). Academic Journal Evaluation Results (2024) [Internet]. NRF; 2024 [cited 2024 Dec 20]. Available from: https://www.nrf.re.kr/biz/notice/view?menu_no=362&page=&nts_no=231996&biz_no=8&target=&biz_not_gubn=notice&search_type=NTS_TITLE&search_keyword1=.